[앵커]
2년 전 우리 지역에 큰 피해를 줬던
초강력 태풍 힌남노 기억하실 겁니다.
지구 온난화로 동중국해 수온이 올라
힌남노급 태풍이 2030년대엔 5년마다
2050년대 들면 2~3년마다 발생해 한반도에
영향을 줄 거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온난화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더라도
별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측돼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입니다.
양병운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2022년 9월 초순 시간당 100mm가 넘는 폭우로 포항제철소는 창사 이래 처음으로 가동을 멈췄습니다.
포항시 인덕동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이 침수돼
7명이 숨진 것을 비롯해 포항과 경주에서 10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전국적으로도 1조 7천3백억 원의 경제적
피해를 안긴 건 태풍 힌남노였습니다.
보통의 태풍은 한반도에 오기 전 세력이 약해지지만 힌남노는 동중국해를 지나면서
다시 강해졌습니다.
동중국해의 수온이 29도에 이를 만큼
올랐기 때문입니다.
민승기 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를 비롯한 연구진이 동중국해 수온과 최대 풍속 초속 54m 이상인 초강력 태풍과의 연관성을 살펴봤습니다.
1982년부터 2022년까지 한반도에 상륙한 초강력 태풍은 16개
동중국해의 8~9월 평균수온이 높을수록 태풍의 강도가 세졌습니다.
가장 세력이 강해지는 지점도 점점 북상해 한반도와 가까워졌습니다.
[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동중국해가 따뜻해질수록 거기서 수증기도
증발이 많이 되고 따라서 들어오는 슈퍼 태풍들이 그 수증기를 에너지원으로 해서 계속 세력을 유지한 채 한반도로 북상할 수 있는 그런 예측이 되겠습니다."
주기를 추산했더니 현재 10~11년에 한 번 정도 한반도에 오는 초강력 태풍이 2030년대엔 5년, 2050년대엔 2~3년으로 짧아졌습니다.
문제는 수온 상승의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더라도 주기에 큰 변화가 없다는 겁니다.
[민승기/포스텍 환경공학부 교수]
"동중국해 같은 경우는 이미 따뜻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이미 온난화 때문에
따뜻해졌고 태풍이 좋아하는 온도인 28도는 이미 넘어갈 확률이 훨씬 많아졌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는 온실가스를 줄이든 안 줄이든 그 상태는 그대로 유지가..."
연구진은 현재 동중국해의 수온이 30도를
웃돌아 올해 한반도에 상륙하는 태풍의 강도가
셀 것으로 보인다며 대책 마련을 요구했습니다.
TBC 양병운입니다.(영상취재: 노태희)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