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세종 태실의 핵심 유물을 반세기 만에 찾은 걸 계기로 태실 기획 보도 이어드리고 있는데요
우리 고유의 생명존중 문화, 태실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습니다
박철희 기잡니다.
[기자]
속리산과 멀지 않은 상주시 화서면에 태봉산이 아담하게 솟았습니다.
꼭대기에 선 정자 뒤로 조선 10대 왕 연산군의 원자 태실이 자리했습니다.
태항아리와 태지석을 넣어 땅에 묻었던 석함과
태실 주인을 표시한 비석입니다.
[CG]
1920년대 일제가 이곳에서 파낸 태지석엔
‘원자 금돌이 아기’ 라는 글자가 나옵니다.
연산군 아들의 아명을 금돌이, 그러니까 쇠돌이라고 적은 겁니다.
[CG]
세조의 손자이자 예종의 장남인 인성대군의
이름에는 아예 똥 분 자가 들어갔습니다.
이름을 험하게 지어야 잘 큰다는 민간 신앙이 왕자 이름에 그대로 스며 있는 겁니다.
[CG]
삼국사기에 김유신의 태를 태령산에 묻었다고 나오는 걸 보면 태를 소중히 여기는 문화는
적어도 삼국시대부터 내려온 것으로 보입니다.
[김상일 경남 사천시 학예연구사]
“우리나라는 태어나면서 한 살이지 않습니까. 이미 잉태된 순간 그걸 생명으로서 존중을 하는 겁니다. 탯줄이라는 게 또 뱃속에 있을 때는 엄마와 자녀 간에 연결해 주는, 어찌 보면 세상과 연결해 주는...”
고려시대부터는 명당 자리를 찾아 왕실 태실을 만든 게 문헌에서 확인되고 고고학적 성과도
일부 나타납니다.
조선왕실은 자손이 태어나면 태반과 탯줄을 봉안해 아기태실을 만들고 아기가 뒷날 왕이 되면
비석과 석물로 화려하게 단장한 가봉(加封) 태실을 조성했습니다.
[CG]
태를 묻은 땅 위로는 사방석과 중동석, 개첨석을 올린 중앙태석을 세웠습니다.
태실은 세계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우리만의 문화 유산입니다.
[심현용 한국태실연구소장(울진 봉평리 신라비 전시관장]
“태실은 미래의 개념이고 즉 태어나서 향후 발전하는 개인의, 태주의 무병장수와 발전도 있지만 그 당시 국가의 안위까지 염려를 했던 개념이 들어가 있거든요.”
지난해 10월 경북과 경기, 충남북 등
4개 시도가 함께 마련한 국제학술대회,
가봉태실의 세계유산적 가치를 논의하는 자리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첫걸음이었습니다.
조선의 왕이 살던 궁궐과 죽어서 묻힌 왕릉,
위패를 모신 종묘는 이미 세계유산에 등재된 상태, 태실까지 이름을 올리면 마지막 퍼즐을 맞추게 됩니다.
[김회정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세계유산분과 전문위원]
“태어남에 관련돼 있는 태실이 세계유산이 되면 한 왕조의, 왕의 인생을 놓고 처음부터 끝까지를 세계유산으로 설명을 할 수 있는 나라는 아마 세계 최초로 한국이 되지 않을까 싶거든요.”
궁궐,종묘와 달리 태실은 전국 곳곳에 있어 세계유산이 되면 국민적 관심이 더할 전망입니다.
[스탠딩]
하지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아직도 넘어야할 산이 많다는 분석입니다.
일제가 태실을 파괴하고 부지를 민간에 넘긴 이후 아직도 대부분 유적이 방치되고 있고 국가 차원 실태 조사는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가야고분군이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데 10년이 걸렸듯이 장기적인 청사진을 갖고 태실 연구를 활성화하는 노력이 시급합니다.
TBC 박철흽니다.(영상취재 이상호 CG 김유진)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