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학생 수 감소로 지방대학들은 해가 갈수록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박 정기자가 지역의 한 대학 캠퍼스를 찾아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
[기자]
얼마 전 아주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죠. 2040년 지방대의 60%가 소멸한다. 그리고 이미 실질적인 채용 현장에서도 지방대 소외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김현수/대구가톨릭대 광고홍보학과 3학년]
”취업을 어떻게 할지, 또 내 학과가 사라지는 건 아닌지 이런 걱정들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지역 인재 채용 쿼터가 있는데, 강제성이 없다 보니 안타까움이 있는지?) ”맞아요. 지역과 지방 대학이 협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수도권에만 지원이나 인프라 구축이 많이 되다 보니까 박탈감을 더 느끼는 것 같습니다.“
[김현준/대구가톨릭대 물리치료학과 1학년]
”학생들이 다 지방에서 서울 올라가려고 하잖아요. 거기 인프라 자체가, 커뮤니케이션이 잘 된다고 해야 하나... 그 지역 사람들을 잡아놓으려면 일자리를 창출시켜야 되잖아요. 그러니까 (지역 인재 쿼터 등) 지방 사람들에게 이권을 주면 무조건 여기서 일하는 사람이 어느 정도는 생기는 거니까 그 제도는 무조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이수진/대구가톨릭대 물리치료학과 1학년]
”제 사촌오빠가 경주에 있는 대학교를 다니는데, 이번 학년까지만 신입생을 받고 다다음년도부터는 다른 학교랑 통폐합되고, 그 학교는 없어진다고 해서...“
[성한기/대구가톨릭대학교 총장]
”다양한 국책사업을 수주하면서 첨단 기자재를 확보하고, 파격적인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성인 학습자를 위한 학과를 신설해서 모집하고 있고, 또 무엇보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도 힘을 많이 쏟고 있습니다.“
(학교 구성원.지역사회.정부에 바라는 점이 있다면?) ”근본적으로는 수도권과 지방의 양극화가 진정으로 해소될 수 있는, 좀 더 과감하고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할 텐데요. 지방 대학을 지원함과 동시에 수도권 대학의 정원을 좀 감축한다든지, 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지방으로 이전해서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줘야 합니다.“
[기자]
지방시대, 지방의 교육 여건 확보는 필요충분조건입니다. 고등 교육기관으로서 지역사회와의 선순환을 고려하면 지방대의 존재 가치는 이미 증명이 됐죠. 이제는요. 인구 절벽과 함께 이미 시작돼버린 지방대 절벽 앞에 대대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TBC 박정입니다.(촬영 배민주)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