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날씨
닥터리포트 ADHD, 조기 치료가 답이다 가대 정신건강의학과 김준원
앵커1 기자
2025년 04월 05일 20:54:20
공유하기
Video Player is loading.
Current Time 0:00
Duration -:-
Loaded: 0%
Stream Type LIVE
Remaining Time -:-
 
1x

[앵커]
최근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즉 ADHD로 진단받는 성인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동기에 주로 시작되는 ADHD는 뇌의 실행 기능 조절이 어려운 질환으로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기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김준원 대구가톨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가 ADHD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기자]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는 집중력 부족과 충동성을 특징으로 하는 신경발달장애입니다.

최근 성인 ADHD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ADHD는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니라, 뇌의 실행 기능 조절이 어려운 질환입니다.

주의력 부족, 과잉행동, 충동성이 대표적인 증상이며, 학업이나 직장생활,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ADHD의 유병률은 세계적으로 아동 5%, 성인 2.5%로 보고되며, 국내에서는 5.9~8.5%로 추정됩니다.

최근 ADHD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성인 ADHD 진단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ADHD는 유전성이 높은 질환입니다.유전율이 57%로 정신질환 중에 높은 편에 속하고, 조산이나 임신 중 흡연·음주도 위험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진단은 소아정신과 전문의의 면담과 임상심리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약물과 비약물적 방법이 함께 사용됩니다.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계를 조절하는 약물이 핵심 치료법이며, 최근 미국에서는 게임 기반 디지털 치료제도 승인받아 ADHD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특히 ADHD 환자들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직장 내 업무 수행이나 인간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증상이 의심된다면 전문가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

주요 뉴스

최신 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