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아리랑’을 제시하라(제3편)영천아리랑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TBC대구방송 뉴스 ’용천아리랑‘ 문제를 연구자와 영천시민과 전승자, 언론이 함께 해결해야 한다.
- 기미양
- 0
- 506
- 글주소 복사
- 2016-08-12 18:23
‘용천아리랑’을 제시하라(제3편)
제1.2편을 통해서 용천아리랑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세 분의 연구자(강등학 조용호 김기현)에게 ‘용천아리랑’을 존재를 제시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아직 언론을 통해서든 영천지역과 관련 단체를 통해서든 답변이 없다. 다시 반복하지만 이분들은 ‘용천아리랑’에서 ‘영천아리랑’이 되었다고 주장했으므로 ‘용천아리랑’ 실체를 반드시 확인해야 그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제3편에서는 그동안 아리랑 연구 결과는 자료집에서 ‘용천아리랑’ 명칭을 재확인하고자 한다. 1911년부터 2013년까지 남한과 북한 중국의 자료조사 결과이다.
--------------------------------------
1)1911~1912 조선총독부 조사자료 『俚謠·俚諺及 通俗的 讀物等 調査』(18종 수록)
2) 1935년 조선총독부, 김지연의 『朝鮮民謠 아리랑』(27종 수록)
3) (1927-1945년) 방송 송출자료(41종 방송)
4) 1983년 중국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민요연구』(31종 수록)
5) 1982년 《조선족민요곡집》(문학예술연구 中刊, 연변문학예술연구소편)(16종 수록)
6) 2013년 김영운, 「북한에 전승되는 민요 아리랑 연구」 (49종)
1) 1911~1912 조선총독부 조사자료 『俚謠·俚諺及 通俗的 讀物等 調査(리요리언급 통속적 독물등 조사)』
① 아리랑歌 ② 阿朗歌 ③ 아리랑打令 ④ 酒色界의 雜歌 ⑤ 어르렁타령 ⑥ 아르렁打令 ⑦ 어르렁타령 ⑧ 啞而聾打詠 ⑨ 아리랑타령 ⑩ 啞聾歌⑪ 阿朗歌 ⑫ 아르랑타령 ⑬ 아르릉타령 ⑭ 啞利聾打令 ⑮ 아리랑타령 ⑯ 어르렁打令 ⑰ 愁心歌 ⑱ 아르렁타령 ⑲ 아르랑打令 ⑳ 아르랑歌
1년여에 걸친 전국 대상 조사 자료에는 총 20여종의 아리랑이 수록되었다. 표음(表音)상의 곡명은 총 18종이다.
2) 1935년 김지연의 『朝鮮民謠 아리랑』(27종 수록)
신아리랑·별조(別調)아리랑·아리랑타령(打令)·원산(元山)아리랑·밀양(密陽)아리랑·아리랑타령(2)·강원도(江原道)아리랑·아리랑세상(世上)·서울아리랑·정선(旌善)아리랑(3)·엮음아리랑·영일(迎日)아리랑·서산(瑞山)아리랑·하동(河洞)아리랑·정읍(井邑)아리랑·순창(淳昌)아리랑·공주(公州)아리랑·양양(讓陽)아리랑·안주(安州)아리랑·창녕(昌寧)아리랑·구례(求禮)아리랑·아리랑고개·남원(南原)아리랑(2)
총독부가 주재한 것으로 김지연이 기관지 ≪조선≫에 발표한 『朝鮮民謠 아리랑』에는 27종의 아리랑 명칭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18종이 지명을 썼다.
3) (1927-1945년) 방송 송출 자료
최초 방송 송출 아리랑은1927년 4월 16일 전광수의 피리 연주 <아리랑타령>이다. 이로부터 1945년 4월 28일 <아리랑集> 송출까지 18년간의 상황을 정리한 아리랑 명칭 결과 총 41종이다.
아리랑타령·아리랑(阿里嫏·阿里娘)·신(新)아리랑·아리랑歌·아리랑舊調·舊아리랑·밀양아리랑·嶺南아리랑·충청도아리랑·南道아리랑·金剛山아리랑·永同아리랑·긴아리랑·강원도아리랑·元山아리랑·大邱아리랑·아리랑調·아리랑小唄·春夏秋冬아리랑·京아리랑·아리랑世上·流行아리랑·모던아리랑·함경도아리랑·聞慶새재·聞慶아리랑·경복궁아리랑·全羅道아리랑·江原道메나리아리랑·아리아리랑·아리랑夜曲·新調아리랑·아리랑고개·古調아리랑·長調아리랑·珍島아리랑·旌善아리랑·아리랑春景·江南아리랑·아리랑江南·아리랑술집
4) 1983년 중국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민요연구』(조성일)
아리랑·아리랑타령·강원도아리랑·정선아리랑·원산아리랑·서산아리랑·밀양아리랑·서울아리랑·영일아리랑·구례아리랑·하동아리랑·진도아리랑·정읍아리랑·경상도아리랑·공주아리랑·곡산아리랑·안주아리랑·순창아리랑·배양아리랑·창녕아리랑·남원아리랑·춘천아리랑·청주아리랑·서도아리랑·랑강도아리랑·단천아리랑·고성아리랑·영천아리랑·평안아리랑·삼아리랑·긴아리랑
5) 1982년 《조선족민요곡집》(문학예술연구 中刊, 연변문학예술연구소편)
아리랑, 밀양아리랑, 고성아리랑, 량강양아리랑, 단천아리랑, 충청도아리랑, 청주아리랑, 정선아리랑, 경상도아리랑, 백산아리랑, 진도아리랑, 영천아리랑, 평안도아리랑, 긴아리랑, 삼아리랑, 강남아리랑.
1979년 『가요집성』에서는 아리랑이 18곡, 『조선족 구전민요집』에는 10곡, 『조선족민요곡집』(1982년) 20곡, 『민요연구』(1983년) 아리랑 2곡, 1982년 『민요곡집』, 아리랑 18곡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가장 많은 아리랑이 수록된 『조선족민요곡집』(1982년) 20곡
6)2013년 김영운, 「북한에 전승되는 민요 아리랑 연구-음원,악보자료에 의한 악곡유형 분류」,(한국민요학 39집, 한국민요학회, 2013)
아라리·자진아라리· 신아르레기·긴아르레기·아르릉·아일렁랑·구아리랑·구조아리랑·아리랑동·본조아리랑·아리랑·서도아리랑·평안도아리랑·전천아리랑·해주아리랑·단천아리랑·무산아리랑·온성아리랑·회령구아리랑·강원도아리랑·평강엮음아리랑·통천아리랑·고성아리랑·고산엮음아리랑·삼일포아리랑·원산아리랑·강원도긴아리랑·정선아리랑·양양아리랑·경기도긴아리랑·진도아리랑·경상도아리랑·밀양아리랑·경주아리랑·청도아리랑·영천긴아리랑·영천아리랑·초동아리랑·아리랑세상·원산아리랑·랭산모판큰애기아리랑·신아리랑·삼아리랑·통일아리랑·강성부흥아리랑·군민아리랑·철령아리랑·간삼봉에 울린 아리랑·행복의 아리랑
이상에서 1911년부터 2013년까지 남한과 북한 중국등의 자료집에서 살폈듯이, ‘용천아리랑’은 확인되지 않는다. 결국 연구 결과나 자료상에서 ‘용천아리랑’은 없다는 것이 된다. 이는 1, 2편에서 언급한 3사람의 ‘용천아리랑’ 언급은 허위이고, 그로부터 <영천아리랑>이 변했다는 것은 가공한 것이 된다. 다음 4편에서는 <영천아리랑>의 존재를 확인하기로 한다.
제1.2편을 통해서 용천아리랑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세 분의 연구자(강등학 조용호 김기현)에게 ‘용천아리랑’을 존재를 제시하라고 하였다. 그러나 아직 언론을 통해서든 영천지역과 관련 단체를 통해서든 답변이 없다. 다시 반복하지만 이분들은 ‘용천아리랑’에서 ‘영천아리랑’이 되었다고 주장했으므로 ‘용천아리랑’ 실체를 반드시 확인해야 그 상관관계를 규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번 제3편에서는 그동안 아리랑 연구 결과는 자료집에서 ‘용천아리랑’ 명칭을 재확인하고자 한다. 1911년부터 2013년까지 남한과 북한 중국의 자료조사 결과이다.
--------------------------------------
1)1911~1912 조선총독부 조사자료 『俚謠·俚諺及 通俗的 讀物等 調査』(18종 수록)
2) 1935년 조선총독부, 김지연의 『朝鮮民謠 아리랑』(27종 수록)
3) (1927-1945년) 방송 송출자료(41종 방송)
4) 1983년 중국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민요연구』(31종 수록)
5) 1982년 《조선족민요곡집》(문학예술연구 中刊, 연변문학예술연구소편)(16종 수록)
6) 2013년 김영운, 「북한에 전승되는 민요 아리랑 연구」 (49종)
1) 1911~1912 조선총독부 조사자료 『俚謠·俚諺及 通俗的 讀物等 調査(리요리언급 통속적 독물등 조사)』
① 아리랑歌 ② 阿朗歌 ③ 아리랑打令 ④ 酒色界의 雜歌 ⑤ 어르렁타령 ⑥ 아르렁打令 ⑦ 어르렁타령 ⑧ 啞而聾打詠 ⑨ 아리랑타령 ⑩ 啞聾歌⑪ 阿朗歌 ⑫ 아르랑타령 ⑬ 아르릉타령 ⑭ 啞利聾打令 ⑮ 아리랑타령 ⑯ 어르렁打令 ⑰ 愁心歌 ⑱ 아르렁타령 ⑲ 아르랑打令 ⑳ 아르랑歌
1년여에 걸친 전국 대상 조사 자료에는 총 20여종의 아리랑이 수록되었다. 표음(表音)상의 곡명은 총 18종이다.
2) 1935년 김지연의 『朝鮮民謠 아리랑』(27종 수록)
신아리랑·별조(別調)아리랑·아리랑타령(打令)·원산(元山)아리랑·밀양(密陽)아리랑·아리랑타령(2)·강원도(江原道)아리랑·아리랑세상(世上)·서울아리랑·정선(旌善)아리랑(3)·엮음아리랑·영일(迎日)아리랑·서산(瑞山)아리랑·하동(河洞)아리랑·정읍(井邑)아리랑·순창(淳昌)아리랑·공주(公州)아리랑·양양(讓陽)아리랑·안주(安州)아리랑·창녕(昌寧)아리랑·구례(求禮)아리랑·아리랑고개·남원(南原)아리랑(2)
총독부가 주재한 것으로 김지연이 기관지 ≪조선≫에 발표한 『朝鮮民謠 아리랑』에는 27종의 아리랑 명칭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18종이 지명을 썼다.
3) (1927-1945년) 방송 송출 자료
최초 방송 송출 아리랑은1927년 4월 16일 전광수의 피리 연주 <아리랑타령>이다. 이로부터 1945년 4월 28일 <아리랑集> 송출까지 18년간의 상황을 정리한 아리랑 명칭 결과 총 41종이다.
아리랑타령·아리랑(阿里嫏·阿里娘)·신(新)아리랑·아리랑歌·아리랑舊調·舊아리랑·밀양아리랑·嶺南아리랑·충청도아리랑·南道아리랑·金剛山아리랑·永同아리랑·긴아리랑·강원도아리랑·元山아리랑·大邱아리랑·아리랑調·아리랑小唄·春夏秋冬아리랑·京아리랑·아리랑世上·流行아리랑·모던아리랑·함경도아리랑·聞慶새재·聞慶아리랑·경복궁아리랑·全羅道아리랑·江原道메나리아리랑·아리아리랑·아리랑夜曲·新調아리랑·아리랑고개·古調아리랑·長調아리랑·珍島아리랑·旌善아리랑·아리랑春景·江南아리랑·아리랑江南·아리랑술집
4) 1983년 중국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민요연구』(조성일)
아리랑·아리랑타령·강원도아리랑·정선아리랑·원산아리랑·서산아리랑·밀양아리랑·서울아리랑·영일아리랑·구례아리랑·하동아리랑·진도아리랑·정읍아리랑·경상도아리랑·공주아리랑·곡산아리랑·안주아리랑·순창아리랑·배양아리랑·창녕아리랑·남원아리랑·춘천아리랑·청주아리랑·서도아리랑·랑강도아리랑·단천아리랑·고성아리랑·영천아리랑·평안아리랑·삼아리랑·긴아리랑
5) 1982년 《조선족민요곡집》(문학예술연구 中刊, 연변문학예술연구소편)
아리랑, 밀양아리랑, 고성아리랑, 량강양아리랑, 단천아리랑, 충청도아리랑, 청주아리랑, 정선아리랑, 경상도아리랑, 백산아리랑, 진도아리랑, 영천아리랑, 평안도아리랑, 긴아리랑, 삼아리랑, 강남아리랑.
1979년 『가요집성』에서는 아리랑이 18곡, 『조선족 구전민요집』에는 10곡, 『조선족민요곡집』(1982년) 20곡, 『민요연구』(1983년) 아리랑 2곡, 1982년 『민요곡집』, 아리랑 18곡이 수록되어 있다. 이 중 가장 많은 아리랑이 수록된 『조선족민요곡집』(1982년) 20곡
6)2013년 김영운, 「북한에 전승되는 민요 아리랑 연구-음원,악보자료에 의한 악곡유형 분류」,(한국민요학 39집, 한국민요학회, 2013)
아라리·자진아라리· 신아르레기·긴아르레기·아르릉·아일렁랑·구아리랑·구조아리랑·아리랑동·본조아리랑·아리랑·서도아리랑·평안도아리랑·전천아리랑·해주아리랑·단천아리랑·무산아리랑·온성아리랑·회령구아리랑·강원도아리랑·평강엮음아리랑·통천아리랑·고성아리랑·고산엮음아리랑·삼일포아리랑·원산아리랑·강원도긴아리랑·정선아리랑·양양아리랑·경기도긴아리랑·진도아리랑·경상도아리랑·밀양아리랑·경주아리랑·청도아리랑·영천긴아리랑·영천아리랑·초동아리랑·아리랑세상·원산아리랑·랭산모판큰애기아리랑·신아리랑·삼아리랑·통일아리랑·강성부흥아리랑·군민아리랑·철령아리랑·간삼봉에 울린 아리랑·행복의 아리랑
이상에서 1911년부터 2013년까지 남한과 북한 중국등의 자료집에서 살폈듯이, ‘용천아리랑’은 확인되지 않는다. 결국 연구 결과나 자료상에서 ‘용천아리랑’은 없다는 것이 된다. 이는 1, 2편에서 언급한 3사람의 ‘용천아리랑’ 언급은 허위이고, 그로부터 <영천아리랑>이 변했다는 것은 가공한 것이 된다. 다음 4편에서는 <영천아리랑>의 존재를 확인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