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통신사』는 있었는데, 왜『일본 통신사』는 없었는가?
- 김건호
- 0
- 421
- 글주소 복사
- 2007-06-25 16:13
【緯度経度】지금도 변함없는? 대일관(対日観)
에도시대에 조선(한국)으로부터 일본에 파견된 공식사절단 「조선 통신사」로부터 금년이 400년이라고 한다. 이를 기념하여 한일 쌍방에서 기념행사가 활발하다. 한일우호 관계에 있었던 시대의 문화교류의 재평가라고 하는 것이지만, 당시 , 일본 각지에서 서민 레벨까지 관심을 부른 조선 통신사는, 말하자면 “한류”의 개척자였다.
조선 통신사(사절단이라고 하는 의미)는 모두 12번 파견되어, 매회 400명 전후의 대규모적인 것이었다. 대마도 경유로 에도로 향해 왕복 6개월, 해로나 육로에서 일본을 여행했다.
신유한저『海游録』(平凡社·東洋文庫)은 1719년, 도쿠가와 요시무네 장군 취임 축하로 방문한 9번째 사절단 제술관(서기)에 의한 일본 방문기이지만, 지금 다시 읽어도 실로 재미있다.
일행은 일본의 도처에서 환영받고, 한시나 책, 유교사상 등 “문화”를 갈망하는 일본인이 밀려 들었다. 그 모습은 「왜(倭) 군중이 구름같이 모였다」 「시를 청하는 왜 군중의 괴롭힘에 답답 해」 「문필을 가지고 너무 골치아파, 잘 수 없다」라고 할 정도였다고 하지만, 재미있는 것은 이 기록이 일본을 시종, 「왜(倭)」라고 해 일본인을 「왜 군중」이라고 쓰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에 대해 신유한(저자)은, 멸칭은(조선을 침략한) 토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악감정으로부터 나와 있으니까 이해하라고 해, 히데요시론(秀吉論)이 된다. 신유한에 「너는 히데요시의 악을 말함을 왜 기피하는지」라고 말한 芳洲는 「(히데요시에게는) 조금의 공덕도 없다」라고 맞장구를 치지만, 신유한은 한층 더 「가토 기요마사(加藤清正)는 가장 흉악하고, 그 자손이 관리가 되고 백성이 되어 와도 대면해 서화 할 수는 없다」때문에, 면회자에 대해서는 조심하라고 한다.
히데요시의 조선 출병은 이 때보다 120년전의 일이다. 도요토미가(豊臣家)를 멸한 토쿠가와가(徳川家)라고 하는 것으로, 조선은 토쿠가와막부와 국교 정상화해 사절단을 파견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조건은 강했다.
그 때문에 일행은 쿄토에서 대불사 방문 예정도, 히데요시 연고의 절이니까 방문을 거부한다고 말해 크게 호출하고 있다.「내가 결코 절 문에 들어온 이상, 도리는 원한(유감)를 잊을 뿐이다」라고 한다.
그런데 「倭」로 생각하는 것은 최근, 북한의 노동신문 등 국가 미디어가 일본을 끊임없이 「倭」라고 칭해, 「왜국」이라든가「倭王」등이라고 하는 말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국가적 차원에서 일본을 바보로 취급할 생각이지만, 말하자면 400년전과 같은 국가 감각이라고 할 것이다.
그런데 한편으로 「해유록」은, 「왜인」은 7 세기에 「倭 이름을 싫어해, 국호를 일본으로 고쳤다. 일본 명칭은, 여기에서 시작되었다」라고 소개하고 있다.
그리고 「천황」의 호칭에 대해서도, 「倭皇」이라고 하는 표현도 사용하고는 있지만 특히 달리 주창하지 않고, 반대로 먼 옛날, 「해뜨는 곳의 천자, 일몰 하는 곳의 천자로 책을 썼다」라고 한 문서를 중국에 전달한 이야기까지 소개하고, 게다가 「천황에 이름이 있고 성이 없는 것은, 부처같은 것이다」 등으로 해설하고 있다.
그리고 에도는 물론 쿄토, 오사카의 번화가나, 각지에서 접대를 받았던 지방 경제력에도 감탄하고 있다.
조선 통신사에 대해 막부의 중진으로 유학자 아라이 하쿠세키는 「(히데요시 등) 군사에서는 일본에 이길 수 없기 때문에 문장으로 그 치욕을 씻으려 하고 있다」라고 냉소적인 견해를 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지만, 신유한을 비롯한 사절단은 한시나 유학 등 “문장”에서는 확실히 일본인을 크게 관심시켜, 교류의 열매를 올렸다.
그러나 이 교류는, 조선(한국) 측에는 어떤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다.「海游録」등의 대일 교류 리포트가 전하는 일본문화는, 그 후 조선 내부에 어떤 영향을 준 것일까.
「조선 통신사」에 대한 「일본 통신사」는 끝까지 실현되지 않았다. 진짜 상호교류는 되지 않았던 것이다. 교류란 결코 간단한 것은 아니다.(ソウル・黒田勝弘)
출 처 : 2007/06/23 07:58〔http://www.sankei.co.jp/special/kuroda/kuroda.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