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논두렁에서 영농 부산물이나 쓰레기를 태우다가 대형 산불로 번지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해 영농 부산물 파쇄 지원 사업이 시행되고 있는데요.
인력과 예산 모두 부족해 반쪽 자리 제도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대형산불, 막을 수 없나' 연속보도, 정진명 기자입니다.
[기자]
메마른 포도가지들이 잔뜩 쌓여 있습니다.
올해 수확을 위해 강한 가지를 남겨두고 모두 쳐낸 것들입니다.
어림잡아 1백 킬로그램이 넘는 양, 영농 파쇄지원단이 이 부산물 처리를 맡기로 했습니다.
파쇄된 가지들은 퇴비로 다시 밭에 뿌려집니다.
[ 황순희 / 상주시 공성면 "옛날에는 (소각)했지. 파쇄 안 했을 때는. 아무것도 없는 데에서 금세 하고 (부산물도) 얼마 양도 안 돼요."]
문제는 인력과 장비가 부족하다는 겁니다.
논밭 면적만 5천 헥타르에 달하는 상주시에 파쇄 인력이 단 6명에 불과합니다.
3명이 하루에 파쇄할 수 있는 면적이 최대 0.5헥타르 정도, 한두곳 작업하는 것도 쉽지 않다보니 주로 고령층을 상대로만 파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 김인수 / 상주시 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장 "다 커버하기는 힘들고요. 일반 젊은 농업인들 같은 경우는 저희 농업기술센터에서 파쇄기를 빌려줍니다. 그리고 지금 저희가 나와서 하는 거는 고령층 농업인들 위주로..."]
사정이 이렇다보니 영농 부산물을 몰래 태우는 행위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지난 1일에는 예천군 풍양면의 밭에서 부산물 소각으로 인한 불이나 80대 A씨가 숨졌고, 지난달 23일에도 의성군 가음면의 밭에서 부산물을 태우던 80대 B씨가 숨진 채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며칠 전 상주시에서도 비슷한 일이 있었습니다.
[박호인 / 상주시 사벌국면 "밭에 좀 방해되고 하니까 부산물을 태웠던 것으로 알고 있어요."]
영농 부산물 소각으로 인한 화재는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산에서 10미터도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영농부산물 등을 불법 소각한 흔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지난 한해 발생한 산불은 모두 279건, 이 가운데 농업부산물 소각이나 쓰레기 소각을 인한 산불이 52건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사정이 이런데도 경북도는 지난해 영농파쇄 지원 예산 중 절반 가량을 쓰지도 못하고 반납했습니다.
[경북도 관계자 "홍보가 좀 덜 된 것도 있었고 시행착오도 많이 겪고 이러다 보니까 작년에는 좀 많이 반납을 했죠. 신청하는 사람도 적었고 또 이게 병든 가지나 이런 거 과수 쪽은 파쇄를 하는 게 좀 위험한 부분이 좀 있거든요."]
매년 불법 소각으로 300헥타르가 넘는 임야가 잿더미로 변하고 있는 상황, 특단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TBC 정진명입니다. (영상취재 김도윤 CG 최성언)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