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수도권 인구 집중과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면서 지방 소멸위기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여)경북은 전국 두 번째로 소멸 위험이 높고, 대도시인 대구도 소멸 위험단계 진입이 임박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경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대구 인구는 2003년 정점을 찍은 뒤
20년 동안 16만 명 넘게 줄었습니다.
특히 20살에서 39살까지 청년 인구는
2003년 88만 7천 명에서 2022년 57만 3천 명으로 31만 명 줄었고, 같은 기간 청년 인구 비중은
35%에서 24%로 급감했습니다.
[CG1]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한
대구의 소멸위험지수는 0.553
0.5 미만인 소멸위험 진입 전 단계로,
8개 특광역시 가운데 처음으로 0.5 아래로 떨어진 부산에 이어 소멸위험 진입이 임박한 상황입니다.
특히 신서혁신도시가 있는 대구 동구도
소멸위험 단계에 새롭게 진입하면서 지방소멸은 우려가 아닌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상호 /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
"(지방소멸)확산과 침식의 정도가 한 단계 문턱을 넘은 것인데요, 대구 전체적으로 보더라도 굉장히
일자리가 늘어나고 성장하는 지역이 있을 거고,
취약한 지역들이 있잖아요. 지역적으로 양극화되는 현상은 다층적이고, 그래서 세심하게 볼 필요가 있다라는 거예요.”
[cg2]
경북은 17개 시도 중에서 전남 다음 소멸위험이 높았고, 도내 22개 시군 가운데 20개,
90.9%가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됐습니다.
다만 2003년 소멸위험지역으로 꼽힌 예천은 유일하게 인구가 소폭 늘었고, 청년 인구 감소율은 다른 시군과 비교해 절반 수준에 그쳤습니다.
도청 이전과 기업 유치로 지방소멸 흐름을 늦췄다는 분석과 함께 균형발전을 위한 정부 차원의 과감한 권한 이양과 정책 전환이
요구되는 대목입니다.
[임규채 / 경북연구원 경제산업연구실장]
"예산을 지자체마다 골고루 균등 배분하는 문제 때문에, 효율성보다는 분배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서 그게 조금 부족하다, 이런 생각이
들거든요. 이제 예산 집행을 통한 출산 정책은
한계가 있다. 그래서 방법은 주거를 안정화시킨다.
안정화된 일자리가 제공이 돼야 한다. ”
아울러 수도권 인구 집중에 맞서 지역 특성에 맞춘 일자리 확충과 양육 여건 개선 또한 시급한 과제로 꼽혔습니다.
TBC 현경아입니다.(영상취재 현경아 CG 최성언)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