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다음 달 1일 공원일몰제가 시행되면
경북에서만 축구장 4천 7백여 개를 합친 면적의 공원이 사라집니다.
민간 개발 사업도 곳곳에서 무산됐고
대구대공원은 난개발이 우려됩니다.
공원일몰제 실태와 대책을 짚어본
시사진단 쾌를 황상현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기자]
공원 녹지를 지키기 위해
대구시는 4천억이 넘는 지방채를 발행했습니다.
[조경선/대구시 장기미집행공원조성추진단장]
"4846억원을 투입해서 일몰 위기에 처한 도심공원 20개소, 장기미집행공원 내 사유지 340만 제곱미터 전체를 매입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대구 갈산공원과
안동 옥현공원 등 민간공원특례사업이
잇따라 무산됐습니다.
개발사업자가 사업수익성을 이유로
포기했기 때문입니다.
시민단체와 도시계획전문가들은
녹지 보전을 위해선 민간개발보다는
대구시의 직접 매수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조광현/대구경실련 사무처장]
"지방채를 발행해서 다른 공원들을 조성하듯이
갈산공원도 그런 방식으로 매입을 해서 보존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도 그 지역 주민들을 위해서 훨씬 더 좋은 일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구도시공사가 직접 개발하는
대구대공원 역시 난개발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대구대공원은
자연환경훼손 최소화와 공익성을
최우선으로 한 공영개발방식으로,
이미 국토부의 2차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까지 통과했습니다.
하지만 동물원 이전에다
반려동물 테마파크, 위락시설까지
지나치게 많은 시설들이 들어서
녹지 훼손과 접근성 부족 문제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입니다.
[권용일/대구한의대 도시계획학과 교수]
"계획된 주차장 위치에 주차를 하고 동물원까지 가려면 엄청나게 걸어야 합니다. 동물원 이용객이 주로 어린아이들인데 그 거리를 걸어가는 것이 쉽겠느냐. 특히 여름철에...부대시설을 조금 제외하거나 줄이고 (주차장을 입구쪽으로 배치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또 서울처럼 일몰제 대상 부지를
'도시자연공원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민간공원특례사업 역시
비공원시설 면적을 10%로 제한한 광주처럼
특혜 논란을 막기 위한 지방정부의
대응을 주문하기도 했습니다.
공원일몰제 실태와 대안을 짚어보는
시사진단 쾌는 내일 오전 9시 방송됩니다.
TBC 황상현입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53-760-2000 / 010-9700-5656
▷ 이메일 : tbcjebo@tbc.co.kr
▷ 뉴스홈페이지 : www.tbc.co.kr